환경보전

바닷속 산호가 죽어간다, 백화현상

죠르디팡팡 2024. 11. 28. 14:16

 

바다의 산호초 군락이 죽어가는 현상, '백화현상'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백화현상으로 하얗게 죽은 산호초

백화현상이란 ?

백화현상이란 연안해역에서 해조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해중림이 소실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조류가 사라진 자리에는 무절석 회조류가 번성하여 암반표면이 백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백화현상이라고 부르지만, 꼭 석회조류가 번성하지 않더라도 해중림의 급격한 소실이 관측될 수도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더 넓은 의미로 갯녹음이라는 표현도 널리 쓰입니다.

 

해조류가 소실되면 이를 먹이로 삼거나 해조류를 서식처로 삼는 해양생물들이 함께 사라지기 때문에, 끝내는 해양생태계 자체가 무너지고 어획량 감소 등으로 연안주민들의 생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때문에 백화현상을 바다 사막화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백화현상이 일어나기 전 산호초 지대
백화현상으로 인해 죽어버린 산호초 지대

위 두 사진의 차이가 보이시나요? 위 두 사진은 2016년 호주 대산호초 지역 리자드섬 연안에서 백화현상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모습입니다. 대산호초는 둘레가 2300k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산호초 지대입니다. 대산호초는 육지의 열대밀림 같은 역할을 해 생태계가 방대하게 발달해 있고, 수영과 스노클링을 하며 다양한 볼거리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대규모 대규모 백화현상이 3번이나 일어났는데,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라고 합니다. 과학계에서는 백화현상을 산호초 절멸의 전 단계로 보고 있다고 하네요.

 

백화현상의 원인

가장 흔한 생태학적 원인은 해조류와 서식지 경쟁하거나 해조류를 포식하는 해양생물의 급격한 번식으로 해조류의 개체수가 급감하는 것입니다. 해조류와 서식지 경쟁을 하는 생물로는 분홍멍게가 대표적이며, 해조류를 포식하는 생물은 거의 대부분 성게가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한반도 동해안의 경우, 1990년대 후반에 값싼 중국산에 밀려 성게의 대일수출이 막히면서 성게 채집량이 급감한 것이 백화현상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건설 폐기물

또다른 원인은 화학적인 원인으로, 해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칼슘이 고체화되어 해수에 떠다니거나 해저표면에 내려앉는 것입니다. 콘크리트 재질의 방파제나 테트라포드 등 인공구조물은 해수에 다량의 탄산이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육지로부터 콘크리트 잔해나 건축 폐기물, 공업화에 따른 대기의 이산화탄소 증가 또한 같은 결과를 낳습니다. 이렇게 탄산이온이 과잉공급된 표층수에 지형적 또는 기후적인 원인으로 칼슘이온이 풍부한 저층수가 솟아올라 혼합되면, 두 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 결정을 이룹니다. 이렇게 고체화된 탄산칼슘이 해수를 뿌옇게 만들어 일광투과율을 낮추거나 해저표면을 덮어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해양오염, 담수의 급격한 유입, 수온상승, 해류의 변화로 인해 해조류의 번식에 필요한 영양염류의 저하 등, 어떠한 원인으로든 해조류의 식생을 불량하게 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모두 백화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습니다.

 

발생현황

 

제주도 앞바다의 2012년 당시 갯녹음(위쪽 사진)이 진행되 해양 생물이 사라졌지만 바다 숲 조성(아래)으로 조류와 어류가 살게 됐다

한반도에서는 1980년대에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에는 동해안에도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 한국수자원관리 공단의 조사에서는 동해 연안의 62%, 남해 33%, 제주 연근해 35%의 면적에서 백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세계적으로 갯녹음 발생 지역

 

 

대처방안

 

백화현상의 가장 큰 문제는 원인이 워낙 다양한 데다가, 그나마 밝혀진 원인에 대해서도 대처방안이 마땅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해양오염을 줄이고, 해안개발의 최소화는 등 원론적인 대책이 반복될 수 밖에 없고, 그나마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나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에 대해서는 국제적인 협략이 필요하므로 개별 국가나 지역 입장에서는 손을 쓸 방도가 없다고 합니다.

어장 생태환경 개선사업 '바다숲' 프로젝트 (사진제공 - 한국수산자원공단)

 

어장 생태환경 개선사업 '바다숲' 프로젝트 (사진제공 - 한국수산자원공단)

어장 생태환경 개선사업으로는 '바다숲' 프로젝트가 진행중입니다. 갯녹음이 발생한 해역에 해조류와 해초류를 조성하여 해양수산자원의 서식처를 주고 사람에게도 유익한 바닷속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입니다. 바다숲의 6대 기능으로는 위의 자료와 같이 수산생물 서식처 제공, 온실가스(이산화탄소) 저감, 오염물질 정화 등 바다 생태 환경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